[21.11.01] -- chat
[10:35]
위의 ChatServer를 bean으로 만들어 놔서. 일단 뒤에서 계속 돌아가게 해놓구.
저 주소에 접속을 하면 bean으로 설정한, ChatServer 클래스가 작동하게 함.
이런 실시간 방식이 필요한 이유 --> 내가 만들었던, 좌석예매 같은 일을 위해서.
ex) 1열 1행을 누군가 선택하면, 다른 사람들의 페이지에서도 ,
1열1행이 누군가 선택했다고, 바뀔 수 있게 하기 위해서.
[11:05]
이런 실시간 방식이 없었을 때는,, 서버에 request를 막 계속 보냈음. 1초에 한번씩 같이..
이런 방식으로 문제 됬던게,, 옛날의 카카오 같은 방식인가 봄.
사용자가 너무 많아지게 되면,, 1초마다 connect 과 remove를 계속해서 반복하게 되면서 내부의 장비들이 망가지고, 뭐 그래서 바뀌게 되었다~.
현재는 --> request 가 올때만, 바뀌게 되게 바꿨다. (push 방식)
지금 만든 것은 (pull 방식) 이라서, 아직은 별로 뭐가 없으니까 성능저하는 없는데,
사용자가 많으면 성능 문제가 생기게 되겠지?
카카오톡은 --> 실시간 채팅이 아니야.
push 서비스 임.
서버에 메세지가 오면 --> push 해주는 것. ( push 는 우회해서 보내주는 거고. )
ex) 카카오톡을 켜고 있으면 실시간 채팅을 하고 있고, (카톡방에 들어가 있으면, 알림이 안뜨는 거.)
카카오톡의 그 채팅방에 안 들어가 있으면 --> 알림이 오니까.

오 신기해.
--> SSO (single sign on)
로그인을 담당하는 서버가 따로 있고,
한 회사의 여러개의 서버가 있을 때,
로그인을 하면, --> 다른 서버도 들어갈 수 있게 해주는 거
현재는 --> OAuth 를 사용하고 있는
--> OAuth 는 SNS로그인 같은 거 -->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,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
'스프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프링 Small Tip] References 와 Declarations (0) | 2021.11.06 |
---|---|
[스프링] 파일업로드 (죠기요) (0) | 2021.11.06 |
[스프링] getSitsInfo.get(0).getSitsCode() (0) | 2021.10.29 |
[스프링 & 엑셀]Apache POI (0) | 2021.09.30 |
forward VS redirect (0) | 2021.09.29 |